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Network

(4)
캡슐화와 역캡슐화란? 캡슐화와 역캡슐화란? 컴퓨터 A에서 컴퓨터 B로 데이터를 보낸다고 생각해보자. 데이터를 보내려면 우선 보내고 싶은 송신 데이터가 있을것이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전달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데 이 정보를 헤더라고 한다. 그래서 송신 데이터 앞에 헤더를 붙이는데 이 과정을 캡슐화라고 한다. 한편 데이터를 받는쪽에서는 헤더를 하나씩 제거하는데 이것을 역캡슐화라고 한다.
TCP/IP 란? TCP/IP OSI 모델 7계층을 4계층으로 바꾼 모델을 TCP/IP 모델이라고 한다. 인터넷에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네트워크 프로토콜(규칙)을 의미한다. TCP/IP는 IP(Internet Protocol)을 중심으로 한 여러 프로토콜의 집합체로, TCP/IP 5계층 혹은 TCP/IP 4계층(링크계층과 물리계층을 하나의 계층으로 보는 경우)으로 불린다. TCP 신뢰성 있는 패킷 전달을 지원 IP 프로토콜을 이용해 전달된 패킷의 신뢰성을 보장 신뢰성, 연결지향 프로토콜 데이터의 안전한 도착을 확인 연결 설정과 해제 과정이 존재 포트 번호 사용 IP 라우터간 이동을 통해 호스트를 찾아가는 역할 담당 타겟 서버에 패킷 전달 담당 비신뢰성, 비연결형 프로토콜 best-effort 방식 TCP/IP 5계층 ..
HTTP와 HTTPs, REST API와 RESTful API 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컴퓨터들의 통신 규약(protoco) 중 하나로, 웹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통신 간 사용하는 형식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ex) 우편 형식 : 사람이 알아보는 형식 HTTP 형식 : 컴퓨터가 알아보는 형식 HTTP 는 크게 요청 (HTTP Request)과 응답 (HTTP Response)으로 나뉘어져 있다 HTTP Request 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 리소스 요청을 보낼 때 사용 클라이언트의 목적에 따라 다르게 분류 ex) 네이버에 접속할 때 웹 페이지를 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고, 로그인 할 때에는 정보가 맞는지 확인을 해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음 CRUD 에 사용되는 HTTP 메소드 GET : 특정 리소스를 달라고 할 때에 사용 예시: 페이지..
IP, DNS, Port(포트), Server(서버) 란?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웹 서버라 불리는 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에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IP주소는 192.168.0.1 과 같은 숫자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외우기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IP 주소 대신에 "seokhee0516.tistory.com"과 같이 사람이 기억하기 좋은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 IP 주소 웹 서버가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연결하려면, 웹 서버가 실행중인 컴퓨터의 주소를 알아야 하는데, 이 주소를 IP 주소라 한다. DNS(Domain Name Server)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DNS이다. Port(포트) 한 개..